기준 금리
엔화 환율 1년 차트입니다.
일본은 제로 금리로 유명하죠.
일본에서 돈을 빌려 다른 나라에 투자 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정도로 꽤 오래 지속되어왔습니다.
한국은행은 미국을 따라 금리를 지속적으로 높이는 중입니다.
3.5%까지 보고 있다는 기사도 어제 올라온 것을 보았습니다.
0.5%씩 꽤 가파르게 두 달마다 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달러와 비교해 원화의 가치를 방어하고 있는 것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속도에 비하면 느리지만
미국이 올릴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면서 우리나라는 금리 인상을 시작했습니다.
일본이 금리 인상을 하지 않는 게 이득인 이유도 있고
자국민들의 상황을 볼 때 금리를 인상하기 어려운 이유도 있습니다.
일본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잠깐 엔화 가치가 올랐었으나 지금은 다시 내리는 추세입니다.
엔화 매수
일단 저는 일본의 개입이 일어난 부분을 유의미하게 생각하여 매수를 하였습니다.
물론 미국의 금리가 지속적으로 더 오르거나 우리나라가 금리를 더 이상 올릴 수 없거나
뭐든 변수는 일어날 수 있지만 투자자는 모두 개인적인 관점으로 투자를 진행한다고 생각합니다.
매수, 매도의 기준 환율입니다. 물론 이 금액에 매수를 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매수한 환율은 973.30원입니다.
물론 매수한 뒤에 떨어지기도 하고 오르기도 하겠지요.
매수하자마자 올라서 매도를 바로 할 수 있는 것은 신의 영역입니다.
972원 대일 때 973원으로 매수하였으나 현재 971원 대네요.
그렇다면 매도 환율은 970원 대겠군요.
오늘은 이렇게 엔화 매수를 해보았습니다.
엔화는 달러처럼 기축통화도 아니고 달러만큼 힘이 있는 화폐는 아니지만
적어도 원화보다는 안전자산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해보았습니다.
나무증권은 환전 우대율 100%로 가장 수수료가 적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무증권으로 환전을 해봤습니다.
매수를 더 할 수도 있고 매도를 할 수도 있고 추이를 지켜봐야겠지요.
투자의 판단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달러 투자로 월 100만 원 파이프라인 만들기
경제 이야기(feat. 달러와 기축통화) 왜 달러는 기축통화인가? 과거에 달러 지폐에는 'TEN DOLLARS IN GOLD COIN'이라는 문구가 있었다고 합니다. 달러는 원래 금으로 교환이 가능한 '금 교환권'같은 것이
hallyanghallya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