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왜 임대업을 하지 않는가

 

 

부동산은 주거용이든 사업용이든 누군가에게 빌려주고 대가를 받는 수익 구조입니다.

4억짜리 아파트를 사서 3%의 임대 수익률이 발생할 수 있고
2억짜리 상가점포를 사서 6%의 임대 수익률이 발생할 수 있죠.

그러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공실 리스크, 수리 비용, 부동산의 컨디션 관리에 들이는 노력, 세금 등등의 리스크가 있습니다.

대행해주는 업체도 있으나 그렇다면 투자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투자 리스크를 피하려다 더 큰 리스크를 안게 되는 비합리적 구조가 만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생각지도 못한 노동력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전구 교체부터 화장실 공사, 장판과 도배, 옥상 방수까지
특이한 형태의 노동력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할 수 있습니다.

능력도 또한 필요합니다.

임차인과의 협상력, 인테리어 감각과 같은 것들 말이죠.

 


 

그러나 실거주용 집은 어떨까요?

실거주용 집에 투자하는 것이 왜 인생 최고의 투자인지는 여기서 말씀드렸습니다.

 

투자금을 충당하는 방법

충당하다 : 모자라는 것을 채워 메우다. 돈을 모으는 일에 대해서는 말들이 참 많습니다. "많이 벌고 적게 쓰면 된다." 가장 흔하게 들어왔던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이런 말도 전에는 많

hallyanghallyang.tistory.com

 

 

1. 오랜 시간이 지나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실거주'라는 효용가치. 즉, 안전 마진이 확보됩니다.
   매달 나가는 월세 비용만 생각해도 크며, 전세 이자만 내다가 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안전 마진이 큽니다.

2. 값이 크게 내려가거나 이자를 내지 못하는 상황만 발생하지 않으면 강제 청산 우려가 적습니다.
   너무 큰돈을 빌려서 투자하지만 않는다면 리스크가 가장 적습니다.

3. 집은 의식주 중 하나로 기본 수요가 확실하게 보장되어 있습니다.
   누구든 집은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내가 살기 좋은 곳은 남들에게도 살기 좋은 곳입니다.

3. 이 세상에 같은 위치에 부동산은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희소가치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같은 인프라를 누릴 수 있는 곳은 집 위에 집을 다시 짓지 않는 한 땅은 한정되어 있음으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4. 단기간에 걸쳐 가격이 오르내릴 수는 있을지언정 인플레이션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자산입니다.
   지금처럼 코로나로 인해 금리를 낮추고 돈을 찍어내며 시중에 풀린 돈으로 집값이 오르기도 하고
   풀린 돈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긴축으로 기준 금리가 상승함으로 집값이 내리기도 하지만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상승하는 자산입니다. 4500원 하는 김밥이 다시 1500원이 되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실거주용 집은 인생 최고의 투자입니다.

 


 

그렇다면 부동산 투자는 어떤 방법으로 하면 좋을까요?

 

월 100만 원 파이프라인 만들기(feat. 배당금)

파이프라인이란 무엇인가? :내가 거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소득으로 이어지는 시스템 제가 오늘 이야기해볼 파이프라인은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거의 노력을 기울

hallyanghallyang.tistory.com

 

지난번에 배당금에 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미국에는 월 배당주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연 배당을 하고 있고 분기 배당을 하는 기업도 거의 없지만,
미국에는 부동산을 소유하고 임대료 받아 운용하여 투자자들에게 월 배당하는 리츠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리츠 수익률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연간 평균 수익률이 26.59%입니다.

만약 5000만 원을 나누어 각각 5개의 종목에 1000만 원씩 투자했다면,
세금 15.4%를 제외하고도 1년에 1200만 원의 수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월 100만 원의 수익입니다.

이것이 부동산 투자보다 미국의 월 배당 리츠를 떨어질 때마다 꾸준히 사서 모아둬야 하는 이유입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한 첫 단추 끼우기

정말 돈이 없어서 부자가 되지 못하는 걸까? 보통 투자는 수익을 %로 가져가게 됩니다. 수익률이라고 하죠. 10억짜리 아파트가 5억이 올라 15억이 되었다고 해서 그 근처 5억짜리 아파트도 10억이

hallyanghallyang.tistory.com

 


 

대표적인 리얼티인컴을 보겠습니다.

 

출처 네이버

 

금리가 오르니 리츠도 주춤할 수 있습니다.

현재 58.20$네요. 주가는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배당금은 어떨까요?

 

 

배당금은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리츠의 가치는 배당금에서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배당금은 오르는데 주가가 계속 떨어질 수는 없습니다. 배당이 주가 방어가 되기 때문입니다.

 

 

배당금이 오르는 데 주가가 아직 회복을 못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매수 타이밍이라고 합니다.

물론 환율이 세서 망설여지실 수 있습니다.
1달러 당 천 원에 비해 1400원은 40%가 높습니다.

달러 환율이 낮을 때(1000~1100원) 달러는 바꿔두었다가
이렇게 기회가 올 때 매수를 하면 됩니다.

떨어지면 사 모으면 되고 오르면 기다리면 되는,
그렇게 2~3년이 지나면 당연히 올라 차익이 발생하겠지요.

매달 계좌에 꽂히는 배당금을 보고 있노라면 오히려 팔기가 아까울 겁니다.

 


저는 이 책이랑 아무 관련이 없는 사람입니다만,

이 글에는 이 책에 나온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꼭 기회가 돼서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뭐가 됐든 닥치는 대로 읽고 간접경험을 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한 걸음 더 나아가 봅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