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투자를 하는 이유

김한량hallyang 2022. 10. 7. 00:00
반응형

 

 

 

 

오늘은 편하게 읽으실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이 책에 기술된 내용으로 

'투자는 왜 할 수밖에 없는지'
'투자가 선택이 아닌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2020년 코로나 쇼크

 

 

한국은행이 코로나19라는 사상 초유의 전염병 유행을 맞닥뜨리며 정책금리를 0.5%까지 내린 이후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모두 1%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10억 원에 거래되는 아파트는 천만 원 밖에 기회비용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1995년에는 시중금리가 무려 13% 내외였습니다.

10억의 아파트를 매수하는 데 사용한 10억 원을 은행에 예치하였다면 매년 1억 3천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를 경제학에서는 '기회비용'이라고 합니다.

예금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자 수입의 기회를 포기한 대신에 10억의 집을 소유한 것이니까요.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약 15~16억 원에 거래되었으나,
1997년 시중금리가 25%까지 상승하자 10억 원 선이 붕괴되었다고 합니다.

 

 

금리가 떨어졌을 때 최대 피해자는 예금에 돈을 넣어둔 사람

 

 

저자는 55세 세대주 A씨의 상황을 예로 들었습니다.

자기 명의의 집 한 채를 보유하고 있고 순자산이 5억 원이라고 가정했습니다.

매우 큰 돈을 소유하고 있지만 연간 이자가 약 250만 원에 불과합니다.

1990년 중반만 해도 이자 수입은 연간 6,500만 원에 달했을 것이고,
2008년에도 약 3,500만 원이었음을 감안하면

시중금리가 내린 탓에 벼락거지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이자율이 0.5% 일 때 50억 원의 금융자산이 있어야 합니다.

 

60세 이상 가구의 연평균 소득이 2,700만 원인 것을 감안하면

연간 2,500만 원의 소득을 위한 50억 원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 국민연금과 보유 자산의 점진적인 처분까지 더해지면
60세 이상 평균 가구보다 부유하게 생활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50억 이상의 자산을 소유한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부자들일수록 자신이 얼마나 자산을 가지고 있는지 공개하기를 꺼리기 때문에
2013년 상속세를 기준으로 보면 303명에 해당됩니다.

그 해 사망한 사람이 26만 명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0.1%만이 자녀들에게 50억 원 이상의 자산을 물려준 셈입니다.

물론 50억 이상을 죽을 때까지 지킬 수 있을 정도의 사람이 상속할 가능성이 크기에 이것이 전부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요점은 투자를 전혀 하지 않고 예금 이자로만 생활을 영위한다면 50억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월 300만 원을 만드는 방법

제목 자체에서도 느껴지시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저도 같은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뭐 엄청난 부자가 될 마음은 없습니다. '늙은 뒤에도 그저 어디 가서 아쉬운 소리 하지 않을 정도만 현금

hallyanghallyang.tistory.com

 

앞서 이 글을 쓰게 된 이유입니다.


 

코로나 쇼크 때 낮은 금리 덕에 부동산, 주식, 코인까지 대부분의 자산이 상승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았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것뿐인데

벼락거지가 된 심정을 느끼신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

급하게 오른 자산 가치에 마음이 급해져 뒤늦게 영끌 투자로 올라타신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금리가 오르고 급하게 오르는 이자 비용 때문에 감당하기 힘든 부채를 떠안으신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결국 돈은 그 전부터 준비한 사람의 주머니로 들어간 것입니다.

 

모든 분들이 필요성을 깨닫고 공부하실 수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그 날까지 공부합시다!

 

 

 

월 300만 원을 만드는 방법

제목 자체에서도 느껴지시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저도 같은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뭐 엄청난 부자가 될 마음은 없습니다. '늙은 뒤에도 그저 어디 가서 아쉬운 소리 하지 않을 정도만 현금

hallyanghallyang.tistory.com

 

반응형